[GitHub] 깃허브 프로필 꾸미는 법
·
Git & GitHub/기타(마크다운 등)
📖 출처 woo0_hooo님 블로그: woohoo.log seondal님 블로그: seondal.log PgmJUN님 블로그: Back World newwisdom님 블로그: newwisdom's log 🤜 본인 ID와 똑같은 이름의 레포지터리 생성 본인 ID와 같은 이름의 레포지토리를 만들면 아래에 고양이 아이콘과 함께 깃허브 프로필을 README를 통해 만들어 보라는 설명이 생긴다. 위와 같이 꼭 Add a README file 을 체크해주자!!!! 그리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준다. 🤜 README.md 에 정보 입력하기 기본적으로 마크다운 언어를 사용해 작성해야한다. 마크다운 작성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참조 바람~~ 마크다운 작성법: 링크 깃허브에서 직접 작성하면 커밋을 ..
[자료구조] 정렬
·
CS/자료구조
11 정렬 Sort 출처 C언어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천인국, 공용해, 하상호 저) 목차 정렬의 개념 1-1. 정렬이란 1-2. 정렬의 분류 정렬의 종류 2-1. 선택 정렬 2-2. 삽입 정렬 2-3. 버블 정렬 2-4. 셸 정렬 2-5. 합병 정렬 2-6. 퀵 정렬 2-7. 기수 정렬 정렬 알고리즘의 비교 1. 정렬의 개념 1-1. 정렬이란? 정렬이란 데이터나 물건을 크기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렬은 컴퓨터 공학을 포함한 모든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알고리즘이다. 정렬은 특히 자료 탐색에 가장 핵심이 된다. 만약 사전이 알파벳으로 정렬되어있지 않다면 특정 단어를 찾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정렬시켜야할 대상을 레코드(record)..
[Javascript] React와 불변성, 그리고 배열
·
Javascript/React
1. 불변함수 상태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하는 React 에서 불변성을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리액트에서 개발의 편의성을 위해 컴포넌트 단위로 쪼개서 함수를 만든다. 큰 도화지에 스티커를 붙이듯 부모에 해당하는 함수의 return값에 컴포넌트들을 넣어 화면을 구현한다. 대체로 부모가 변경될 때 자식은 그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부모에 입력된 컴포넌트들을 변경하는 연산을 수행할 경우가 생긴다. 그런데 만약 부모에 의해서 컴포넌트의 원본이 마구잡이로 바뀌게 된다면 프로그램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리액트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위해 불변성이 필요하다. 불변성을 유지함으로써 연산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불변성의 정의는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뜻하며 컴퓨터 공학적으로 풀어 말한다면 메모리 영역의 값..
[자료구조] 그래프 - 최소 신장 트리(MST)와 최단경로
·
CS/자료구조
10 그래프 - 최소 신장 트리(MST)와 최단경로 출처 C언어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천인국, 공용해, 하상호 저) 목차 최소 비용 신장 트리 1-1. 신장 트리란 1-2. Kruskal의 MST 알고리즘 1-3. Prim의 MST 알고리즘 최단 경로 2-1. Dijkstra 알고리즘 2-2. Floyd-Warshall 알고리즘 위상 정렬 1. 최소 비용 신장 트리 1-1. 신장 트리란? 신장 트리(spanning tree)란 그래프 내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는 트리를 의미한다. 절대 사이클이 있어서는 안 된다. n개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의 신장 트리는 n-1개의 간선을 가진다. 이미지 출처: https://imgur.com/xYkNNxl 위의 그림을 살펴보면 신장트리는 그래프의 최소 연결 부분 그래프..
[자료구조] 그래프와 탐색 DFS BFS
·
CS/자료구조
09 그래프 Graph 출처 C언어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천인국, 공용해, 하상호 저) 목차 그래프의 개념 1-1. 그래프란 1-2. 그래프의 종류 1-3. 네트워크 1-4. 그래프 용어 그래프의 표현방법 2-1. 인접행렬 방식 2-2. 인접리스트 방식 그래프의 탐색 3-1. 깊이 우선 탐색 DFS 3-2. 너비 우선 탐색 BFS 1. 그래프의 개념 1-1. 그래프란? 그래프(graph)는 객체 사이의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그래프의 예로는 지도에서 도시들의 연결상태, 전기회로의 소자 간 연결 상태, 도로망, 대학교 선수과목 관계 등이 있다. 트리도 일종의 그래프로 받아들여진다. 선형리스트, 트리로는 도시, 소자, 자원, 프로젝트 등의 객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구조를 표현..
부스트캠프 설명회와 수료생과의 랜선 MeetUp
·
활동/부스트캠프
1. 부스트 캠프 온라인 설명회 링크: 부스트캠프 온라인 설명회 올해 부스트캠프 웹모바일은 과정은 2022년 6월 21일 화요일까지 지원자를 받는다고 한다! 1차 코딩테스트와 2차 코딩테스트를 거쳐 선발되며 교육 과정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챌린지, 멤버십 과정을 거쳐 동료 간 협업을 통해 서비스를 직접 개발해본다고 한다. 챌린지 과정은 1개월 동안 매일매일 미션의  주제와 조건을 확인해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제출하는 과정이다. 오전에는 전 날 미션을 잘 수행했는지 다 같이 점검해보는 피어세션을 진행한다. 10시부터 19시까지는 코어 타임으로 무조건 참여해야하는 시간이니 숙지하자! 챌린지 기간 동안 공부하는 내용은 개발환경,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비동기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