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해결][Git] merge Conflict 해결
·
Git & GitHub/오류해결
$ git merge my Auto-merging 기능.txt CONFLICT (content): Merge conflict in 기능.txt Automatic merge failed; fix conflicts and then commit the result. 한 프로젝트를 가지고 브랜치를 나눠서 서로 다른 작업을 하다보면 프로젝트 수정하는 부분이 겹칠 수도 있다. 이 때 git merge 명령어를 통해 브랜치를 합병하면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Automatic merge failed; fix conflicts and then commit the result. 해석해보자면, 합병에 실패했다. 충돌되는 부분을 수정하고나서 커밋하라는 말이다. 만약 main 브랜치와 my 브랜치가 있다고 해보자...
[Git] git branch 사용하기
·
Git & GitHub/Git
Git branch 개념 배우기 👇👇👇👇👇👇 https://myvelop.tistory.com/99?category=917184 1. 메인 브랜치와 새로운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 개념배우기에서 사용했던 시나리오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 메인 브랜치 만들기 $ git init ## 홈페이지 만들기 ## $ touch 홈페이지.txt $ git add . $ git commit -m "홈페이지" ## 홈페이지 만들기 완료 ## ## 게시판 만들기 ## $ touch 게시판.txt $ git add . $ git commit -m "게시판" ## 게시판 만들기 완료 ## ## 댓글 기능 만들기 ## $ touch 댓글기능.txt $ git add . $ git commi..
[Git] Git Branch의 개념 (fast-forward와 3-way merge)
·
Git & GitHub/Git
1. 브랜치란? Branch는 가지라는 의미인데, 말 그래도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갈래로 나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독립된 브랜치에서 자유롭게 개발하고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개발자들은 깃과 같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협업 업무를 하게 된다. 만약 한 줄기로만 작업할 수 있다면 로그가 뒤죽박죽될 수 있기 때문에 버전 관리도 까다롭고, 수정도 굉장히 신중히 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브랜치를 사용하면 분기점으로 버전을 나누어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실험해볼 수 있다. 만약 브랜치에서 작업한 프로젝트가 마음에 들면 merge를 통해 본래 버전에 다시 합칠 수도 있다. 2. 브랜치의 합병 브랜치는 인덱스 영역에서 헤더 영역으로 저장할 때, 즉 commit할 때..
[오류해결] fatal: The current branch master has no upstream branch.To push the current branch and set the remote as upstream
·
Git & GitHub/오류해결
git push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 git push fatal: The current branch master has no upstream branch. To push the current branch and set the remote as upstream, use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브랜치를 master로 언급하여 푸시해도 에러가 발생했다. $ git push origin master bash: $'\302\226git': command not found 이 에러의 원인은 원격저장소에 대한 브랜치 설정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깃에서 제시해준 해결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대체로 해결이 된다. $ ..
[Git] Git reset 명령어 (feat. git reflog로 복구하기)
·
Git & GitHub/Git
reset의 종류는 3가지이다. soft mixed hard 어떤 영역까지 삭제해야 하는지를 기준으로 나뉘고 아래로 갈 수록 더 많은 영역을 삭제한다. 차례대로 알아가보도록 하자. 1. soft reset soft reset는 헤더영역만 삭제(커밋된 내용만 삭제)하는 것으로 주로 커밋로그를 변경할 때 사용된다. 실습을 통해 배워보자. 실습 전제: test1.txt 파일이 first commit으로 들어왔고, test2.txt파일이 second commit으로 들어온 상태이다. 깃 로그를 확인해보자. 그리고 git reset 명령어를 사용해보자. commit 옆에 해쉬코드가 길게 늘어서 있다. 해쉬코드 4~5글자 정도를 복사해서 명령에 맨 뒤에 넣어주면 된다. $ git reset --soft 92ba7 ..
[Git] 깃(git)의 기초 - 로컬저장소 생성과 초기 설정
·
Git & GitHub/Git
0. 초기 설정하기 처음 git bash를 사용하면 username과 userEmail을 설정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commit이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귀찮더라도 꼭 하자. 여기서 필요한 명령어는 git config 이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이메일" # 설정 확인하는 방법 $ git config --list **git 최초설정에 대한 참고**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B5%9C%EC%B4%88-%EC%84%A4%EC%A0%95 Git - Git 최초 설정 Vim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