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깃(git)의 기초 - 로컬저장소 생성과 초기 설정

2022. 2. 12. 16:40·Git & GitHub/Git

 

 

0. 초기 설정하기


처음 git bash를 사용하면 username과 userEmail을 설정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commit이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귀찮더라도 꼭 하자.

여기서 필요한 명령어는 git config 이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이메일"

# 설정 확인하는 방법
$ git config --list

 

**git 최초설정에 대한 참고**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B5%9C%EC%B4%88-%EC%84%A4%EC%A0%95

 

Git - Git 최초 설정

Vim과 Emacs, Notepad++은 꽤 인기 있는 편집기로 개발자들이 즐겨 사용한다. Mac이나 Linux 같은 Unix 시스템, Windows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소개하는 편집기들이 불편해서 다른 편집기를 사

git-scm.com

 

 

 

 

1. 로컬저장소 만들기


Git을 시작하려면 저장소를 만들어줘야한다. 이 저장소는 작업 영역(폴더), 인덱스 영역, 헤더 영역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관리되며, 원격저장소와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git의 원리에 대해 궁금하다면 링크를 참고하자.  ==>> https://myvelop.tistory.com/93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cd 디렉토리
$ git init

 

명령어로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것이 귀찮다면 해당 폴더에 가서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Here 클릭하면 된다.

만약 제대로 명령어가 실행됐다면 .git 이라는 폴더가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2. 파일 등록하고 커밋하기


 

$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을 이용해 파일과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빨간글씨로 써져있는 것들이 보일 것이다.

 

이 파일들을 커밋하려면 우선 add 명령어를 통해 track에 올려줘야한다.

$ git add .

 

파일을 올린 뒤, 다시 git status를 통해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git add 명령어를 통해 모든 파일을 track에 올려줬고, 커밋할 준비가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commit을 할 차례다.

$ git commit -m "커밋내용"

git commit 명령어를 통해 커밋메세지를 적어서 커밋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고

git status로 확인해보면 이미 원격저장소에 커밋되었기 때문에 커밋할 파일이 보이지 않는다.

 

 

git log 명령어를 헤더 영역에 commit된 정보를 조회하게 해준다. 커밋이 정상적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git log

 

 

 

'Git & GitHub/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Git Branch의 개념 (fast-forward와 3-way merge)
  • [Git] Git reset 명령어 (feat. git reflog로 복구하기)
  • [Git] Git의 역사와 배경지식
  • 깃! Git 명령어 모음
gakko
gakko
좌충우돌 개발기
  • gakko
    MYVELOP 마이벨롭
    gakk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03)
      • Spring (23)
        • Spring (10)
        • Spring Boot (7)
        • Spring Security (1)
        • Hibernate (4)
      • Test (3)
      • 끄적끄적 (6)
      • 활동 (35)
        • 부스트캠프 (23)
        • 동아리 (3)
        • 컨퍼런스 (3)
        • 글또 (5)
        •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1)
      • 디자인패턴 (0)
      • Git & GitHub (22)
        • Git (13)
        • Github Actions (1)
        • 오류해결 (5)
        • 기타(마크다운 등) (3)
      • 리눅스 (6)
        • 기초 (6)
        •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0)
      • Infra (2)
        • Docker (1)
        • Elastic Search (0)
        • Jenkins (1)
        • AWS (1)
      • MySQL (7)
        • 기초 (6)
        • Real MySQL (1)
      • 후기 (3)
        • Udemy 리뷰 (3)
      • CS (26)
        • 웹 기본지식 (0)
        • 자료구조 (13)
        • 운영체제 OS (12)
        • 데이터베이스 (1)
        • 시스템 프로그래밍 (0)
        • 기타 (0)
      • Tools (1)
        • 이클립스 (1)
        • IntelliJ (0)
      • 프로젝트 (1)
        • 모여모여(부스트캠프) (1)
      • JAVA (32)
        • Maven (6)
        • 오류해결 (11)
        • 자바 클래스&메소드 (1)
        • JSP & Servlet (12)
      • Javascript (5)
        • 기초 (3)
        • React (2)
      • Python (28)
        • 파이썬 함수 (9)
        • 알고리즘 문제풀이 (16)
        • 데이터 사이언스 (2)
        • 웹 크롤링 (1)
      • 단순정보전달글 저장소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우진님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오류해결
    java
    부스트캠프 7기
    스프링부트
    알고리즘
    자바
    부스트캠프
    Spring
    Git
    os
    스프링
    MySQL
    GitHub
    웹개발
    부스트캠프 멤버십
    파이썬
    Python
    운영체제
    jsp
    자바스크립트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gakko
[Git] 깃(git)의 기초 - 로컬저장소 생성과 초기 설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