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스프링 MVC 사용을 위한 의존관계 추가
·
Spring/Spring
스프링 MVC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려면 환경설정을 미리 해놓아야한다. 2가지 방법을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자. 첫 번째는 메이븐 프로젝트 두 번째는 일반 동적 웹 프로젝트를 활용할 때의 예시이다. 동적 웹 프로젝트를 활용하면 일일이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줘야 하기때문에 대부분 메이븐을 사용할 거라고 생각한다. 1. 메이븐 프로젝트 메이븐 프로젝트를 활용할 때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순서는 총 3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① pom.xml 에 스프링 MVC의 의존관계를 추가 ② DispatcherServlet을 web.xml에 추가 ③ servlet.xml 파일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생성 - pom.xml에 추가 org.springframework spring-webmvc 5.3.13 버전은 매번..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 의존관계
·
Spring/Spring
1. 의존 관계에 대한 용어 정리 빈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 와이어링 애플리케이션 객체 간의 연관관계를 형성해주는 것을 의미 의존 관계 주입 빈 식별, 생성 및 와이어링 의존 관계 프로세스를 의존 관계 주입이라고 한다. IoC(Inversion of Control) 의존 관계를 만드는 책임을 사용자 본인이 가지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로 옮기는 것을 뜻한다. 2.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빈을 식별하는 방법 스프링 IoC 컨테이너는 클래스에서 어노테이션을 보고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어노테이션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어노테이션 설명 @Component 스프링 빈을 정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스프링에서 관리되는 객체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 @Controller Spring MVC에서..
[오류해결] Missing artifact 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databind:bundle
·
JAVA/오류해결
메이븐 파일을 사용할 때 jackson-core를 활용해 json을 사용하려고 할 때 메이븐 검색을 통해 얻은 dependency를 그대로 사용하면 라이브러리가 오류가 발생한다. 그대로 pom.xml에 갖다가 붙이면 Missing artifact 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databind:bundle:2.x.x 라는 오류 가 나타난다. ... com.fasterxml.jackson.core jackson-databind 2.13.1 bundle ... Stack overflow에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려주는 포스트가 있어 공유한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4054390/missing-artifact-com-fasterx..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124 나라의 숫자
·
Python/알고리즘 문제풀이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문제풀러 바로가기👇👇👇👇👇👇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899 코딩테스트 연습 - 124 나라의 숫자 programmers.co.kr 문제풀이 124나라의 숫자는 기본적으로 3진수와 비슷하다. 3진법에서는 숫자를 0, 1, 2 순서로 표현한다면 124나라에서는 4, 1, 2 순서대로 숫자를 표기한다. 그런데 약간 다른 점이 있다. 1의 자리 숫자일 때, 3의 배수일 때는 일반 3진법 표기와 다르게 표기된다는 점이다. -3의 배수가 아닐 때 10진법 3진법 124나라 1 1 1 5 12 12 7 21 21 3진법과 124나라의 표기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의 배수일 때 10진법 3진법 124나라 3 1..
[Maven] 메이븐과 리포지토리
·
JAVA/Maven
0. 메이븐 이란? 메이븐이란 Apache에서 개발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빌드 도구이다. 의존성 관리 툴로도 많이 사용된다. 정리하자면 프로젝트 빌드, 관리에 사용하는 도구이다. 1. 메이븐의 작동 방식 pom.xml에서 선언한 dependency들을 저장소로 불러와 사용하는데 그 과정은 아래와 같다. Maven 프로젝트에서 pom.xml 파일을 읽는다. Local Repository에 파일이 있는지 체크한다. 만약 필요한 파일이 없다면 Central Repository에 요청한다. Central Repository로부터 정보를 가져온다. 그 정보를 Local Repository에 저장한다. 모든 준비가 갖춰지면 프로젝트를 실행시킨다. 2. Local Repository 로컬 리포지토리는 메이븐 프로젝..
[Maven] 메이븐 로컬 저장소 사용하기 (+복구하기)
·
JAVA/Maven
1. 로컬 저장소 확인하기 Git Bash나 Hyper를 이용해서 다음의 명령어를 쳐보자. $ cd .m2/repository/ $ ls -al -결과 total 8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28 19:32 ./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3 15:58 ../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20 11:36 backport-util-concurrent/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20 11:36 com/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20 11:36 commons-io/ drwxr-xr-x 1 사용자이름 197609 0 1월 3 15:58 index/ drwxr-xr-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