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시작하기

2021. 12. 30. 16:19·리눅스/기초

Linux 를 시작하기에 앞서 우재남 님의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라는 책을 통해 공부했고 참고했음을 알려드립니다.

 

 

리눅스를 직접 실습하기 위해서는 리눅스를 호스트 컴퓨터에 깔아서 실습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리눅스를 사용해보지 않은 입장에서 굉장히 생소할 수 있고 컴퓨터가 여러 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이상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실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VMware라는 강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그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가상으로 게스트 컴퓨터를 생성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만들고 각각에 필요한 OS를 설치해 리눅스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1. VMware 설치 방법 (링크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oFLD7-WnjlM&list=PLVsNizTWUw7FJot9rAiWBJN3V9EZFBFZX&index=3 

우재남 님의 리눅스 입문 강의

우재남 님이 유튜브에 올린 무료 강의이다. 설치부터 시작해서 실습까지 친절하게 가르쳐주신다..

 

위의 영상을 참고하면 쉽게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VMware을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1. 64bit용 window 7 이후의 모든 운영체제

2. 8GB 이상의 RAM

3. 30GB 이상의 메모리 여유공간(HDD보다는 SDD 권장)

의 요구사항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길...

Workstation Pro 30일 체험판을 깔면 Workstation Player(무료버전)도 자동으로 설치된다.

 

 

 

2.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방법

 

Workstation Player

Workstation Player를 실행한다.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하면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다

 

 

3번째를 선택하고 Next를 눌러준다

 

 

Linux 환경을 실습하기 위해 Linux를 선택해주고 Version은 Ubuntu 64-bit로 설정해준다. 그리고 Next.

 

 

위에 원하는 가상머신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Location도 원하는 위치로 정해준다. 그리고 Next.

 

 

가상머신의 메모리 최대치를 설정(위는 20GB로 설정한 모습)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로 설정. 그리고 Next

 

 

여기서 Finish를 누르면 가상머신을 만드는 과정은 끝이나게 된다.

 

 

LinuxComputer 가 생성된 모습

이제 위의 재생버튼같이 생긴 Power On을 통해 컴퓨터를 켤 수도 있고

오른쪽 재생버튼으로도 실행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 설정을 잘못했다면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를 통해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장치들을 손 봐줄 수도 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가상머신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기초 명령어 모음 1탄
  • VMware 스냅샷(snapshot)
  • 가상머신에 우분투 리눅스(Ubuntu Linux) 설치하기(2)
  • 가상머신에 우분투 리눅스(Ubuntu Linux) 설치하기(1)
gakko
gakko
좌충우돌 개발기
  • gakko
    MYVELOP 마이벨롭
    gakk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03)
      • Spring (23)
        • Spring (10)
        • Spring Boot (7)
        • Spring Security (1)
        • Hibernate (4)
      • Test (3)
      • 끄적끄적 (6)
      • 활동 (35)
        • 부스트캠프 (23)
        • 동아리 (3)
        • 컨퍼런스 (3)
        • 글또 (5)
        •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1)
      • 디자인패턴 (0)
      • Git & GitHub (22)
        • Git (13)
        • Github Actions (1)
        • 오류해결 (5)
        • 기타(마크다운 등) (3)
      • 리눅스 (6)
        • 기초 (6)
        •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0)
      • Infra (2)
        • Docker (1)
        • Elastic Search (0)
        • Jenkins (1)
        • AWS (1)
      • MySQL (7)
        • 기초 (6)
        • Real MySQL (1)
      • 후기 (3)
        • Udemy 리뷰 (3)
      • CS (26)
        • 웹 기본지식 (0)
        • 자료구조 (13)
        • 운영체제 OS (12)
        • 데이터베이스 (1)
        • 시스템 프로그래밍 (0)
        • 기타 (0)
      • Tools (1)
        • 이클립스 (1)
        • IntelliJ (0)
      • 프로젝트 (1)
        • 모여모여(부스트캠프) (1)
      • JAVA (32)
        • Maven (6)
        • 오류해결 (11)
        • 자바 클래스&메소드 (1)
        • JSP & Servlet (12)
      • Javascript (5)
        • 기초 (3)
        • React (2)
      • Python (28)
        • 파이썬 함수 (9)
        • 알고리즘 문제풀이 (16)
        • 데이터 사이언스 (2)
        • 웹 크롤링 (1)
      • 단순정보전달글 저장소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우진님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알고리즘
    MySQL
    스프링
    오류해결
    GitHub
    Python
    운영체제
    java
    부스트캠프 7기
    파이썬
    Git
    부스트캠프 멤버십
    자바스크립트
    Spring
    jsp
    자바
    웹개발
    os
    부스트캠프
    스프링부트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gakko
리눅스(Linux) 시작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